해외에서 가장 인기 있는 KPOP 뮤직비디오 순위
서론
KPOP은 지난 20여 년간 한국 대중음악의 한 장르에서 전 세계적인 음악 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유튜브(YouTube)를 중심으로 한 뮤직비디오 소비 문화는 KPOP이 해외에서 인기를 얻게 된 핵심 요인 중 하나다. 과거에는 해외 팬들이 한국 음반이나 방송을 접하는 데 물리적·언어적 장벽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인터넷과 SNS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뮤직비디오는 단순히 곡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을 넘어, 아티스트의 콘셉트·세계관·퍼포먼스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장르다. 특히 KPOP은 높은 완성도의 안무, 패션, 세트 디자인, 촬영 기법, 편집 등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글로벌 시청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KPOP 뮤직비디오는 해외에서의 조회수와 인기도가 매우 높으며, 각종 기록을 경신하는 사례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해외에서 특히 높은 인기를 얻은 KPOP 뮤직비디오 순위를 살펴보고, 각 영상의 기록과 특징, 그리고 이러한 인기가 형성된 배경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순위 선정은 주로 YouTube 조회수를 기반으로 하되, 조회 속도, 해외 차트 성적, SNS 언급량 등도 함께 참고했다.
1장. 해외 인기 지표로 보는 KPOP 뮤직비디오 순위 기준
1.1 조회수(View Count)
조회수는 뮤직비디오 인기를 가늠하는 가장 직관적인 지표다. K-POP은 글로벌 팬층이 넓고, 팬들이 적극적으로 반복 시청하는 경향이 있어 다른 장르에 비해 조회수 상승 속도가 빠른 편이다.
- 총 조회수: 발매 이후 누적된 총 조회수
- 24시간 조회수: 공개 후 첫 24시간 동안의 조회 수치는 팬덤의 동원력과 관심도를 반영
- 프리미어 동시 시청자 수: 최근에는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프리미어 기능을 통해 최초 공개 시 수십만 명이 동시에 시청하는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BTS의 Dynamite는 공개 첫 24시간 동안 약 1억 100만 뷰를 기록하며 당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2 조회 속도(View Velocity)
뮤직비디오가 공개된 직후의 조회 속도는 해외 시장에서의 반응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다. 공개 후 빠른 속도로 수백만~수억 뷰를 달성하는 영상은 대체로 팬덤 규모가 크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확산력이 강하다.
- 1억 뷰 달성까지 걸린 시간
- 5억, 10억 뷰 달성 속도 비교
- 발매 주간 내 해외 차트 진입 여부
BLACKPINK의 Kill This Love는 공개 62시간 만에 1억 뷰를 돌파했고, How You Like That은 그보다 더 짧은 시간 안에 같은 기록을 세웠다.
1.3 SNS 언급량 및 바이럴 지표
해외 팬덤이 뮤직비디오를 홍보하고 공유하는 주요 수단은 트위터(X), 인스타그램, 틱톡, 페이스북 등이다. 해시태그 캠페인, 안무 챌린지, 밈(meme) 콘텐츠 등이 동반될 경우 조회수 증가세가 가속된다.
예시: Boy With Luv의 핑크 세트 안무 장면은 틱톡에서 수백만 건 이상 리메이크 영상으로 재탄생했다.
1.4 공신력 있는 집계 및 매체 평가
- YouTube 공식 통계
- Billboard Global 200 차트 진입 여부
- Guinness World Records 인증 기록
- KPOP 전문 통계 사이트(Kpopping, Kstats, Korean Updates 등)
2장. 조회수 상위 뮤직비디오 TOP 10 (글로벌 기준)
아래 순위는 2025년 8월 기준, 해외 팬층을 포함한 전 세계 유튜브 조회수를 토대로 선정했으며, 각 곡의 발매 시점, 조회 속도, 해외 반응, 기록 달성 여부 등을 함께 분석했다.
1위 — Gangnam Style (PSY)
- 발매일: 2012년 7월 15일
- 조회수: 약 56억 뷰 이상
- 기록:
- 유튜브 역사상 최초로 10억 뷰 달성(2012년 12월)
- 당시 유튜브 조회수 카운터 한계치(약 21억 회)를 초과하여 시스템 업데이트를 촉발
- 2012년 말, 전 세계 30여 개국에서 1위 차트 기록
- 특징:
- 중독성 있는 ‘말춤’ 안무와 익살스러운 연출
- 가사 대부분이 한국어임에도 불구하고, 언어 장벽을 뛰어넘는 유머와 비주얼로 세계적 히트
- 해외 유명 인사들(버락 오바마, 반기문, 마돈나 등)의 언급과 패러디 영상 확산
- 해외 반응: BBC, CNN, Billboard 등 주요 매체가 ‘K-POP의 세계 진출 역사적 순간’으로 평가
- 영향: K-POP이 단일 히트곡으로 전 세계 대중음악 차트에 본격 진입하는 계기 제공
2위 — DDU-DU DDU-DU (BLACKPINK)
- 발매일: 2018년 6월 15일
- 조회수: 약 23억 뷰 이상
- 기록:
- 걸그룹 뮤직비디오 최초 10억 뷰 달성(2019년 11월)
- 24시간 조회수 3,620만 뷰로 당시 K-POP 걸그룹 신기록
- 특징:
- 강렬한 힙합 비트와 중독성 있는 후렴구
- 사막, 대형 체스판, 핑크 탱크 등 대규모 세트 활용
- 멤버 개별 파트별 화제가 된 패션과 헤어 스타일
- 해외 반응: 미국, 브라질, 태국, 필리핀 등 다양한 지역에서 팬덤 급성장
- 영향: BLACKPINK를 ‘유튜브 퀸’으로 부각시키며, 글로벌 투어 확장에 직접적인 기여
3위 — Kill This Love (BLACKPINK)
- 발매일: 2019년 4월 4일
- 조회수: 약 21억 뷰 이상
- 기록:
- 공개 첫 24시간 동안 5,640만 뷰 기록, 당시 전 세계 최다 조회수
- 1억 뷰 달성까지 약 62시간 소요
- 특징:
- 브라스 사운드 기반의 강렬한 편곡
- 밀리터리 스타일 의상과 퍼포먼스
- ‘포즈 정지’와 ‘대형 군무’가 결합된 댄스 구성
- 해외 반응: 뮤직비디오 연출과 안무가 ‘강인한 여성상’을 상징한다는 문화 분석 다수
- 영향: 페스티벌, 광고 캠페인, SNS 챌린지에 활용되며 팬덤 외 대중층에도 노출
4위 — Dynamite (BTS)
- 발매일: 2020년 8월 21일
- 조회수: 약 19억 뷰 이상
- 기록:
- 24시간 조회수 약 1억 100만 뷰, 당시 세계 신기록
- 프리미어 동시 시청자 약 300만 명 돌파
- 특징:
- BTS 첫 영어 싱글, 디스코 팝 장르로 밝고 경쾌한 분위기
- 복고풍 세트와 의상, 다채로운 컬러 활용
- 해외 반응: 미국 빌보드 Hot 100 1위, 그래미 어워드 후보 지명
- 영향: 영어 가사 전략이 K-POP 해외 진출에 미친 효과를 입증
5위 — Boy With Luv (feat. Halsey) (BTS)
- 발매일: 2019년 4월 12일
- 조회수: 약 18억 뷰 이상
- 기록:
- 공개 24시간 동안 7,460만 뷰, 당시 최다 조회수 기록
- 미국 팝 가수 Halsey와 협업
- 특징:
- 밝고 긍정적인 콘셉트, 대형 세트 전환 효과
- Halsey가 직접 출연, 글로벌 팬층 확대
- 해외 반응: 해외 언론에서 ‘K-POP과 미국 팝의 성공적 융합’ 평가
- 영향: 글로벌 협업 트렌드 강화, 팬덤 외 일반 청취자에게도 친숙한 사운드 제공
6위 — APT. (Rosé)
- 발매일: 2024년
- 조회수: 약 18억 뷰 이상
- 기록: 솔로 아티스트로서 드문 초고속 억 단위 뷰 달성
- 특징:
- R&B 기반의 미니멀한 편곡
- 모노톤 영상미와 감각적인 스타일링
- 해외 반응: 미국·유럽권에서 라디오 에어플레이 증가
- 영향: BLACKPINK 멤버들의 개별 활동이 글로벌 인지도 확산에 기여
7위 — BOOMBAYAH (BLACKPINK)
- 발매일: 2016년 8월 8일
- 조회수: 약 17.9억 뷰 이상
- 기록: 데뷔곡임에도 억 단위 조회수 달성
- 특징:
- EDM·힙합 혼합 사운드
- 에너지 넘치는 안무와 다채로운 세트
- 해외 반응: 동남아·남미 지역에서 폭발적 반응
- 영향: 신인 그룹으로서 이례적인 글로벌 반응을 끌어내며 성공적 데뷔
8위 — Gentleman (PSY)
- 발매일: 2013년 4월 13일
- 조회수: 약 16.8억 뷰 이상
- 기록: 공개 하루 만에 3,800만 뷰, 당시 세계 신기록
- 특징:
- 코믹한 콘셉트와 ‘무너춤’ 안무
- 전작 Gangnam Style의 인기 요소 계승
- 해외 반응: ‘또 하나의 K-POP 유행 제조기’로 불림
- 영향: K-POP 단일 아티스트의 연속 글로벌 히트 가능성 입증
9위 — DNA (BTS)
- 발매일: 2017년 9월 18일
- 조회수: 약 16.2억 뷰 이상
- 기록: BTS 최초 억 단위 뷰 달성 뮤직비디오
- 특징:
- EDM·팝 퓨전 사운드
- CG와 세트 전환의 자연스러운 조화
- 해외 반응: 미국 라디오 차트 진입, 팬덤 폭발적 성장 시기
- 영향: BTS의 글로벌 브랜드 형성 초석
10위 — MIC Drop (Steve Aoki Remix) (BTS)
- 발매일: 2017년 11월 24일
- 조회수: 약 15억 뷰 이상
- 기록: 리믹스 버전임에도 억 단위 기록 달성
- 특징:
- 힙합 기반의 강렬한 비트
- 글로벌 DJ Steve Aoki 참여
- 해외 반응: 미국·유럽 EDM 페스티벌에서도 활용
- 영향: 장르 융합을 통한 K-POP의 다변화 가능성 입증
3장. 기록으로 본 주요 뮤직비디오 사례 분석
이번 장에서는 앞서 소개한 순위권 영상 중 일부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주목받았고, 어떤 기록을 남겼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조회수 수치뿐 아니라 문화적 파급력, 매체 평가, 팬덤 활동 양상까지 함께 살펴본다.
3.1 강남스타일(Gangnam Style) — 글로벌 진출의 상징
- 상징성: 2012년 당시, 해외 대중음악 시장에서 한국 가수가 전 세계적으로 이 정도의 바이럴 파급력을 기록한 사례는 없었다.
- 기록적 의미:
- 최초 10억 뷰 달성(2012년 12월)
- 당시 유튜브 조회수 최대치 제한을 변경하게 만든 역사적 사건
- 문화적 파급력:
- ‘말춤’은 단순한 안무를 넘어, 전 세계 각국에서 패러디·챌린지 콘텐츠로 확산
- UN 사무총장 반기문과의 만남, 각국 정상의 언급, 미국 유명 토크쇼 다수 출연
- KPOP 발전에 끼친 영향:
- 한국 대중음악이 ‘아시아 지역 한정’이라는 인식을 깨고, 글로벌 음악 시장의 경쟁자로 자리매김
- 이후 BTS, BLACKPINK 등 차세대 KPOP 아티스트가 해외 진출 전략을 세울 때 강력한 참고 사례로 작용
3.2 DDU-DU DDU-DU — 걸그룹 뮤직비디오의 새 기준
- 조회수 성과: 2019년 11월, 걸그룹 최초 10억 뷰 돌파. 이후 20억 뷰를 넘어 장기적으로 조회수가 유지되는 ‘롱런’형 콘텐츠로 자리잡음
- 연출 특징:
- 대형 세트와 CGI를 혼합하여 장면마다 콘셉트가 확실히 구분
- 각 멤버별 시그니처 비주얼과 퍼포먼스 연출
- 해외 확산 경로:
- 브라질, 멕시코, 태국 등 라틴·동남아 시장에서 폭발적 인기
- SNS 해시태그 #DduDduChallenge가 틱톡·인스타그램에서 1억 건 이상 노출
- KPOP 걸그룹 역사적 의미:
- 기존에는 보이그룹이 주도하던 글로벌 조회수 상위권에 걸그룹이 본격 진입
- 이후 다른 걸그룹의 해외 활동 계획에 ‘글로벌 프리미어 전략’을 필수 요소로 자리잡게 함
3.3 Dynamite — 언어 장벽 없는 글로벌 공략
- 영어 가사 채택 배경: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대면 공연이 불가능해진 시기에, 전 세계 팬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영어 가사를 선택
- 북미·유럽 라디오 방송 진입 장벽을 낮춤
- 기록:
- 24시간 조회수 약 1억 100만 뷰, 전 세계 신기록
- 프리미어 동시 시청자 약 300만 명
- 시각적 요소:
- 1970~80년대 복고풍 의상, 디스코 무드 조명
- 컬러 팔레트가 밝고 통일감 있어 반복 시청 유도
- KPOP의 새로운 시도:
- 영어 싱글이 차트 성적뿐 아니라 뮤직비디오 조회수에서도 강력한 효과를 보임
- 글로벌 미디어에서 “KPOP이 팝 음악의 메인스트림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음
3.4 Boy With Luv — 협업 시너지의 교과서
- 해외 아티스트 참여 효과:
- Halsey의 피처링은 영어권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기존 BTS 팬 외 새로운 청취자층 확보
- 영상미와 연출:
- 파스텔톤 세트, 대규모 댄스 씬, 영화 같은 카메라 무빙
- 각 장면이 GIF·짧은 클립으로 잘려 SNS에서 빠르게 확산
- KPOP 협업 트렌드 강화:
- 이후 BLACKPINK x Selena Gomez, BTS x Coldplay 등 글로벌 협업 붐에 영향
3.5 APT. — 솔로 아티스트의 글로벌 잠재력
- Rosé의 개성 부각:
- 기존 그룹 활동에서 보여준 강렬한 퍼포먼스 대신, 미니멀하고 감성적인 연출
- 개인 서사 중심의 뮤직비디오 구성
- 글로벌 반응:
- 유럽·미국 주요 도시 라디오 차트 진입
- 해외 음악 평론에서 “KPOP 솔로 활동이 그룹 인기와 독립적으로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이라는 평가
4장. 해외에서 KPOP 뮤직비디오가 사랑받는 이유
KPOP 뮤직비디오는 단순한 음악 홍보 영상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이는 시각·청각·문화적 요소가 결합된 종합 예술 콘텐츠로서, 글로벌 시청자의 감각과 취향을 동시에 자극한다. 해외에서 높은 인기를 얻는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4.1 시각적 완성도와 연출
- 세트 디자인: KPOP 뮤직비디오는 대규모 실내 세트와 실외 로케이션을 혼합해 장면 전환이 빠르고 화려하다. BLACKPINK의 Kill This Love처럼 대형 밀리터리 세트와 CG 효과를 결합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 색채 활용: BTS Dynamite는 파스텔톤과 네온컬러를 조합해 긍정적인 분위기를 강화했다.
- 의상·스타일링: 해외 럭셔리 브랜드와의 협업으로 의상 퀄리티가 높고, 트렌드를 선도하는 패션 아이콘 역할도 수행한다.
4.2 퍼포먼스 중심의 안무 구성
- 포인트 안무: ‘말춤’, ‘포즈 정지 춤’처럼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중독성 있는 동작이 해외 확산에 큰 역할을 한다.
- 군무 연출: 10명 이상의 댄서가 함께하는 대형 군무는 영상미와 스케일감을 극대화한다.
- 챌린지 문화: 틱톡·인스타그램 릴스에서 안무 챌린지가 바이럴되면, 조회수 급증과 동시에 음악 소비도 증가한다.
4.3 음악 장르와 언어 전략의 다양성
- 장르 융합: 힙합, EDM, 라틴, 재즈 등 장르를 혼합해 글로벌 음악 트렌드와 동기화된다.
- 다국어 가사: BTS의 Dynamite처럼 전곡 영어 가사, 또는 후렴에 영어를 배치해 해외 청취자의 접근성을 높인다.
- 현지 아티스트와 협업: BLACKPINK x Dua Lipa, BTS x Halsey 등은 해외 팬 유입에 효과적이다.
4.4 SNS와 팬덤 문화의 결합
- 실시간 홍보: 뮤직비디오 공개와 동시에 전 세계 팬들이 해시태그를 사용해 SNS 트렌드를 점령한다.
- 콘텐츠 재생산: 팬들이 장면을 캡처·편집해 짧은 영상, 밈(meme), GIF로 재가공함으로써 콘텐츠 수명이 연장된다.
- 글로벌 팬덤 조직력: 특정 시간대에 동시 시청, 스트리밍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 등 체계적인 활동이 조회수 상승에 기여한다.
4.5 문화적 호기심과 KPOP 고유의 정체성
- 비주얼 스토리텔링: 단순한 춤과 노래가 아니라, 세계관과 서사를 담은 뮤직비디오가 많다. EXO, BTS, ATEEZ 등은 각 영상이 하나의 스토리 라인으로 연결된다.
- 한국어의 독창성: 가사 대부분이 한국어임에도 불구하고, 발음의 리듬감과 독특한 어감이 해외 청취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 문화적 디테일: 전통문양, 한복 응용 의상, 한국 음식·거리 장면 등은 해외 팬들에게 문화 탐험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하면서, KPOP 뮤직비디오는 ‘음악 영상’이라는 한정된 장르를 넘어, 세계인이 즐기는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성장했다. 특히 조회수 기록 경신이 단순한 수치 경쟁이 아니라, 글로벌 문화 교류의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5장. 해외 주요 기록 요약 및 비교
이번 장에서는 앞서 소개한 상위권 KPOP 뮤직비디오들의 성과를 주요 지표별로 비교하여, 해외에서 어떤 특징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KPOP 뮤직비디오 성공 전략의 패턴을 도출할 수 있다.
5.1 조회수 및 달성 속도 비교
순위 | 제목 | 아티스트 | 발매일 | 조회수(2025년 8월 기준) | 1억 뷰 달성 소요 시간 | 10억 뷰 달성 소요 시간 | 비고 |
---|---|---|---|---|---|---|---|
1 | Gangnam Style | PSY | 2012-07-15 | 56억+ | 약 158일 | 약 160일 | 유튜브 10억 뷰 최초 기록 |
2 | DDU-DU DDU-DU | BLACKPINK | 2018-06-15 | 23억+ | 약 10일 | 약 17개월 | 걸그룹 최초 10억 뷰 |
3 | Kill This Love | BLACKPINK | 2019-04-04 | 21억+ | 약 2일 14시간 | 약 15개월 | 공개 24시간 최다 조회수(당시) |
4 | Dynamite | BTS | 2020-08-21 | 19억+ | 약 1일 | 약 8개월 | 24시간 조회수 1억 뷰 신기록 |
5 | Boy With Luv | BTS ft. Halsey | 2019-04-12 | 18억+ | 약 1일 16시간 | 약 18개월 | 글로벌 협업 사례 |
6 | APT. | Rosé | 2024 | 18억+ | 약 4일 | 약 9개월 | 솔로 아티스트 고속 기록 |
7 | BOOMBAYAH | BLACKPINK | 2016-08-08 | 17.9억+ | 약 90일 | 약 3년 | 데뷔곡 억 단위 기록 |
8 | Gentleman | PSY | 2013-04-13 | 16.8억+ | 1일 | 약 1년 | 하루 조회수 세계 신기록(당시) |
9 | DNA | BTS | 2017-09-18 | 16.2억+ | 약 24일 | 약 1년 8개월 | BTS 억 단위 첫 기록 |
10 | MIC Drop Remix | BTS & Steve Aoki | 2017-11-24 | 15억+ | 약 35일 | 약 2년 | 리믹스 버전 억 단위 기록 |
5.2 24시간 조회수 기록 상위 비교
순위 | 제목 | 아티스트 | 24시간 조회수 | 달성 연도 | 당시 세계 순위 |
---|---|---|---|---|---|
1 | Dynamite | BTS | 약 1억 100만 뷰 | 2020 | 1위 |
2 | Butter | BTS | 약 1억 820만 뷰 | 2021 | 1위(갱신) |
3 | How You Like That | BLACKPINK | 약 8,620만 뷰 | 2020 | 걸그룹 1위 |
4 | Kill This Love | BLACKPINK | 약 5,640만 뷰 | 2019 | 당시 세계 1위 |
5 | Boy With Luv | BTS ft. Halsey | 약 7,460만 뷰 | 2019 | 당시 세계 1위 |
주: Butter는 TOP 10 순위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24시간 조회수 기록에서 중요한 사례로 함께 언급.
5.3 해외 차트 진입 성과
- Billboard Hot 100 1위: Dynamite (BTS), Butter (BTS)
- UK Official Singles Chart Top 20: Dynamite (BTS), Kill This Love (BLACKPINK)
- Latin America YouTube Music Chart 상위 5위 진입: DDU-DU DDU-DU (BLACKPINK), BOOMBAYAH (BLACKPINK)
5.4 국가별 조회수 비중 특징
- 북미: 영어 가사 비중이 높은 Dynamite, Butter, Boy With Luv의 점유율이 높음
- 남미: 강렬한 비트와 퍼포먼스 중심의 Kill This Love, DDU-DU DDU-DU의 비중이 높음
- 동남아시아: BOOMBAYAH, DDU-DU DDU-DU, DNA 등 팬덤이 오래 지속되는 곡이 강세
- 유럽: Rosé의 APT., BTS의 Dynamite 같이 멜로디컬하고 팝 성향이 강한 곡이 호응
5.5 분석 요약
- 빠른 초반 속도가 장기 조회수 상승의 기반
- SNS 확산 전략이 지역별 인기 차이를 최소화
- 다국어 전략과 협업이 영어권·유럽권 시장에서 유효
- 영상미와 퍼포먼스 결합이 반복 시청률을 높임
- 발매 시점과 글로벌 이슈(코로나19, 틱톡 챌린지 등)가 조회수에 결정적 영향을 미침
6장. FAQ: 해외 인기 KPOP 뮤직비디오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KPOP 뮤직비디오는 무엇인가요?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본 KPOP 뮤직비디오는 PSY의 Gangnam Style입니다. 2012년 발매 이후 약 56억 뷰를 기록하며, 유튜브 역사상 최초로 10억 뷰를 달성한 영상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Q2. 가장 빠르게 10억 뷰를 달성한 KPOP 뮤직비디오는 어떤 곡인가요?
BTS의 Dynamite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영어 가사로 제작되어 북미·유럽권에서도 대중적으로 소비되며, 발매 약 8개월 만에 10억 뷰를 달성했습니다.
Q3. 걸그룹 중 해외에서 가장 조회수가 높은 뮤직비디오는 무엇인가요?
걸그룹 기준으로는 BLACKPINK의 DDU-DU DDU-DU가 해외에서 가장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2019년 걸그룹 최초로 10억 뷰를 돌파했고, 현재 23억 뷰 이상을 기록 중입니다.
Q4. 해외 팬들은 주로 어떤 플랫폼에서 KPOP 뮤직비디오를 시청하나요?
가장 주요한 플랫폼은 YouTube입니다. 여기에 더해 TikTok, Instagram Reels, Facebook Video를 통해 짧은 클립이나 안무 챌린지 형태로 2차 확산이 이뤄집니다.
Q5. KPOP 뮤직비디오의 해외 인기 비결은 무엇인가요?
높은 영상미와 완성도
따라 하기 쉬운 포인트 안무
다양한 음악 장르와 언어 전략
SNS를 통한 실시간 확산
글로벌 팬덤의 조직적 활동
이 다섯 가지 요소가 결합되면서 KPOP 뮤직비디오는 전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됩니다.
Q6. 최근 떠오르는 KPOP 뮤직비디오 트렌드는 무엇인가요?
최근에는 세로형 영상 지원, 짧은 티저 공개, 틱톡 챌린지 사전 배포 등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Rosé의 APT.나 BTS 멤버들의 솔로곡처럼, 그룹과 솔로 활동이 동시에 주목받는 흐름도 특징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팬들이 뽑은 KPOP 시리즈
- KPOP 팬덤 문화의 변화와 나의 경험
- 무대 퍼포먼스로 기억에 남는 전설의 무대: 역사, 기술, 그리고 문화적 의미
- 장르별 추천 KPOP 플레이리스트 – 시대와 분위기에 따라 즐기는 음악 가이드
- 내가 생각하는 최고의 KPOP 데뷔곡 TOP 5: 곡의 음악성, 문화적 영향, 산업적 의미 분석
- 나만 알고 싶은 숨은 KPOP 명곡 소개
- KPOP 노래 속 ‘인생을 담은 한 문장’ – 삶과 공감의 메시지 분석
- 장르별 추천 KPOP 아티스트 정리
- KPOP 아이돌 리더십이 빛났던 순간들: 역사와 사례 분석
- KPOP 콘서트와 팬미팅에서 전해진 감동적인 순간들 – 문화와 이야기
참고하면 좋은 사이트
- Billboard – Global 200 Chart
- 해외에서 KPOP 뮤직비디오가 어떤 곡과 함께 차트에 오르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글로벌 음악 차트
- Wikipedia – List of most-viewed YouTube videos
- 최신 인기 영상 조회수 순위를 포함해 KPOP 영상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